위 df에서 마지막항은 무시할 수 있다. (dx^2 꼴) f=ghdf=gdh+hdgdxdf=gdxdh+hdxdgf′=gh′+hg′
function composition
g(x)=sin(x)h(x)=x2f(x)=g(h(x))
위 에서 dx의 변화가 생긴다면, dh는 2xdx가 된다.
dh의 변화는 g입장에서 보면 dg = d sin(h)이며 cos(h) dh인 것이다.
dh를 다시 확장하면,
dg = cos(h) 2x dx
즉,
df = cos(x^2) 2x dx 가 된다.
동심원으로 일정한 두께로 잘라낸다.
하나의 동심원을 펴면 직사각형에 가깝고 넓이는 두께를 dr, 길이는 2πr
하나의링Area≈2πrdr
좌표축에 x축을 r로 보고, 0부터 3까지의 범위로 각 r에 해당할때 링의 길이를 세로축 y로 놓으면 직선 y=2πr 이 그려진다.
각 링을 해당 r 위치에 직사각형으로 놓으면 넓이는 dr. dr이 0에 가까울수록 (잘게 썰수록) 삼각형의 넓이가 된다.
즉, 면적은 이 그래프의 삼각형의 넓이가 되므로, πr2이 된다.
원의 넓이, 자동차가 움직인 거리. y=x2그래프 아래의 넓이 등 복잡한 문제를 작게 쪼개서 합으로 풀 수 있다.
f(x)=x^2
한 변 길이가 x인 정사각형의 넓이로 볼 수 있다.
여기서 변의 길이를 dx 만큼 증가시키면…
df (증가량) = 2x dx + (dx)^2 이 된다.
df/dx = 2x+O(dx)
dx는 0가 가까우므로 의미있는 값은 2x가 된다.
dx에 대해서 df를 관측할 경우는 의미있는 부분은 dx까지이고 (dx)^2부터는 무시할 수 있다. (0에 수렴하여 의미없는 값이 된다.)
아래 df에서 dx^2를 봐라. f(x)=xn의미분.dxdf(x)=dx(x+dx)n−xn(x+dx)n=xn+nxn−1dx+O(dx2)O(dx2)는무시할수있다!dxdf(x)=dxxn+nxn−1dx−xn=nxn−1왜무시해도되냐면아래와같다.dxdf(x)=dxxn+nxn−1dx+O(dx2)−xn=nxn−1+O(dx)(dx→0)dxdf(x)=nxn−1
f(x)=x1 에서 미분을 해 보자. 기하학적으로 보면, 넓이가 1인 직사각형을 생각하면 된다. 가로 길이를 x, 높이는 1/x가 된다.
이 때 dx에 대해 df를 보면 된다. x가 dx 증가할 때, 가로 길이는 dx가 증가하지만 세로 길이는 d(1/x)만큼 감소한다. 그 양쪽 증감 넓이는 동일해야 한다. Area(+)=(x1)dxArea(−)=xd(x1)(x1)dx=x(x1−x+dx1)xdx=1−x+dxx=x+dxdxx1=x+dx1즉,dx가0으로수렴.위식은맞다.